#윈도우
ACPI\AMDIF031\0
AMD GPIO Controller 입니다.
- 짜증! 윈도우 시간이 일정한 오차로 동기화가 안될 때, 이 방법을 안 써보았다면 한 번 써봅니다.
- 혹시 netplwiz 사용자 계정 창에서 상단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E)' 메뉴가 안 보입니까?
- 캡쳐 프로그램이나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크롬 개발자 도구(F12)로 스크롤 캡쳐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Everything에서 검색된 파일의 위치를 탐색기가 아닌 토탈커맨더의 패널에서 바로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미니PC를 윈도우 24H2로 업데이트하니 WOL 기능이 안되네요.
빠른 시작 켜기 옵션이 활성화된 것 같습니다.검색(혹은 Win+R) - powercfg.cpl - 전원 단추 작동 설정 -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 클릭 - 빠른 시작 켜키를 비활성화

- D 드라이브에 PE를 설치하고, UEFI 부팅메뉴에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이벤트뷰어에 '{51889F4F-56F0-567B-B13B-CBA74AB96373}' 컨테이너에 대한 메타데이터 준비에 실패했습니다. 오류가 너무 많이 뜨네요. 나오지 않도록 설정해봅시다.
지인분이 윈도우에서 복사/붙여넣기가 잘 안된다 하기시에 확인해보았는데, 희한한 증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원래 하시고 싶은 작업은 크롬이나 엣지에서 어떤 블로그의 내용을 복사해서 한글 2018에 옮긴 후 수정을 하는 것이었는데 한글 2018로 붙여넣을 수가 없습니다.
조금 더 확인해보니, 메모장에서 쓴 글은 메모장내에서 복사/붙여넣기가 됩니다.
한글 2018에서 쓴 글도 한글 2018내에서 복사/붙여넣기가 됩니다.그런데! 메모장이나 다른 프로그램에서 글을 복사한 뒤 한글 2018에 붙여넣기 하면 잠시 로딩 표시가 뜨더니 붙여넣기가 안됩니다. 반대로도 마찬가지입니다.
네이버나 구글에 검색해보면, 익스플로러 설정을 변경한다거나, 한글 프로그램 내에서 붙여넣기 설정을 변경하거나, 디스크 검사, 윈도우 초기화 정도의 내용이 대다수인데 전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윈도우 포맷, 재설치는 정말 최후의 방법이므로 혹시나 해서다른 계정을 만들어서 로그인해보니 바로 해결이 되었네요.만약 아직 윈도우10을 사용하고 현재 로컬 계정으로 사용중이라면 원래의 계정을 삭제하고 새로운 계정만 사용해도 되겠지만, 현재 MS 로그인 계정으로 사용중일 때 계정을 삭제하면 일이 좀 커지기에, 새로 만든 계정을 관리자 계정으로 권한을 올려주고, 원래의 계정은 로그인 화면에서 보이지 않게 설정한 뒤 자동 로그인까지 설정을 하는 선에서 마무리를 했습니다.
새로운 계정이라 여러가지 세팅을 다시 만져줘야겠지만 윈도우 재설치보다는 훨씬 나은 선택인 것 같습니다.
참으로 신기한 증상이었습니다.

오른쪽처럼 드라이브명을 앞으로 오게 만듭니다.
레지스트리에 내용을 추가하고, 탐색기 프로세스 종료한 뒤 탐색기를 재실행하는 과정까지 한 번에 처리합니다.
탐색기-드라이브명-앞으로.bat 처럼 알기 쉬운 이름으로 빈파일을 하나 만들고 아래 내용으로 저장, 실행합니다.@echo off REG ADD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 /V ShowDriveLettersFirst /T REG_DWORD /D 4 /F taskkill /f /im explorer.exe start explorer.exe만약 원래대로 되돌리고 싶다면, /D 4 /F 부분의 4를 1로 변경한 뒤 실행합니다.

크롬 업데이트할 때 오류 코드: 4: 0X80070005 오류가 발생한다면, 크롬을 종료한 뒤 크롬 실행파일을 우클릭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후 업데이트하면 됩니다.
업데이트 직전 열어두었던 마지막 탭들을 복원하고 싶다면 Ctrl+Shift+T 키를 누르세요.
인텔 시스템에서 윈도우 10/11을 설치할 때 HDD나 SSD가 보이지 않을 경우
해결방법은 여러가지인데 개인적으로는 바이오스에서 VMD 비활성화 하거나 IRST 설정을 off 하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바이오스에서 VMD 비활성화
- 설치 usb에 IRST 드라이버 준비해두었다가, 윈도우 설치 시 드라이버 수동 설치
- 바이오스에서 인텔 빠른 스토리지 기술(IRST) off
아래는 스크린샷을 포함한 관련 페이지입니다.
https://www.asus.com/kr/support/FAQ/1044458
https://blog.naver.com/rambo3/222645517387
https://blog.naver.com/danoteinfo/222666021534